본문 바로가기

연차2

근로기준법 연차(회계연도 기준) 1. 내 연차(회계연도 기준) 근로기준법상(제60조) 연차 유급휴가 연차 유급휴가 :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. 신입의 연차 : 근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. 이와 같은 신입의 연차는 총 11일이 주어지고, 입사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하셔야 합니다. Ex_))) 21년 1월 15일 입사의 경우 → 2월 14일까지 결근 없이 만근을 했다면 2월 15일 날 연차 1개가 생깁니다. 3월 1일 날 연차 1개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만근을 했다면 같은 흐름으로 3월 15일 날 연차 1개가 생깁니다. 그렇다면 회계연도기준으로 연차 계산한다는 가정하에 22년도 1월 1일에 .. 2021. 3. 22.
2021년도 근로기준법 연차 개정 2021년도 근로기준법 개정 제55조(휴일)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. ②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일을 유급으로 보장하여야 한다. 다만, 근로자 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특정한 근로일로 대체할 수 있다. [시행일] 제55조제2항의 개정규정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날부터 시행한다. 1. 상시 3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, 「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」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, 「지방공기업법」 제49조 및 같은 법 제76조에 따른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,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정부투자기관이 자본금의 2분의 1 이상을 출자하거나 기본재산의 2분의 1 이상을 출연한 기관ㆍ단체와 그 기관ㆍ단체가 자본금의 2분의 .. 2021. 3. 22.